📣 더 깊은 내용이 담긴 '프날 오토핫키 강좌 v2'의 서적판이 공개되었습니다.
가장 최신의 오토핫키를 담은 '프날 오토핫키 강좌 v2'를 책으로 만나보세요!
v2 페이지에 공개된 분량보다 더욱 깊은 내용을 처음이라도 괜찮아, 오토핫키 프로그래밍을 통해 배울 수 있습니다.
전국 온/오프라인 서점에서 만나요!
책 더 알아보기 및 구매하기
강좌를 진행하면서 소개해드리지 못했던 것들이 있습니다.
보통 한 강좌의 분량이 길어지거나, 그 강좌가 다소 어려운 내용이었다면 자잘한 내용은 패스하는데요
이번 강좌는 가볍게, 지난 강좌에서 놓쳤던 내용들을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1. 한 줄이면 중괄호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IfMsgBox든, If나 Else든... 중괄호를 쓰는 구문을 배웠었습니다.
이 때, 중괄호 안의 내용이 한 줄이라면 중괄호를 생략해도 됩니다.
즉, 아래 두 스크립트는 완전히 같은 스크립트입니다.
if (var = 1)
{
MsgBox, var의 값은 1입니다.
}
else if (var = 2)
{
MsgBox, var의 값은 2입니다.
{
else
{
MsgBox, var의 값은 1도 2도 아닙니다.
}
if (var = 1)
MsgBox, var의 값은 1입니다.
else if (var = 2)
MsgBox, var의 값은 2입니다.
else
MsgBox, var의 값은 1도 2도 아닙니다.
훨씬 간결해졌습니다.
강좌에서도 자주 쓰일테니 이렇게 쓰는 것은 꼭 알아두세요.
2. 오토핫키는 대부분의 상황에서 대소문자를 가리지 않습니다.
즉, 아래 두 스크립트는 완전히 동일한 동작을 합니다. 오류도 나지 않습니다.
var := 1
MsgBox, %var%
vAr := 1
mSgBoX, %VaR%
아유 끔찍해라
강좌에서는 가독성과 정확성을 위해, 최대한 공식 래퍼런스 문서의 대소문자 표기를 따릅니다.
그렇지만 return이나 if같이, 공식 문서에도 Return / return과 If / if처럼 대소문자 규칙이 혼용되어있는 구문은 임의로 강좌에서 하나의 구문으로 정해서 쓰고 있습니다.
3. 명령어와 매개변수 사이의 콤마는 생략할 수 있습니다.
아래 두 줄은 같은 동작을 하며, 오류가 나지 않습니다.
MsgBox 안녕
MsgBox, 안녕
강좌에서는 일관성을 위해 콤마 표기를 항상 하고 있습니다.
4. 대부분의 X, Y 매개변수에 변수를 넣을 땐 %를 생략해도 됩니다.
정확히 말하면 %기호를 생략하는 것이 "정석"이고, %기호를 쓰는 것이 "허용"입니다.
다만 %로 강좌에서 계속 써온 이유는 여러분이 Expressions에서 헷갈리실까봐, 한동안 "변수를 쓸 때 괄호가 없으면 %를 쓴다"라고 알려드린겁니다.
이제부터 X, Y 매개변수에 변수명이 와도 %를 쓰지 않겠습니다. 저는 원래 정석을 쓰는 편이라서요.
vx := 100
vy := 200
MouseMove, vx, vy (정석)
MouseMove, %vx%, %vy% (허용)
다음 강좌부터 다시 본격적으로 나갑니다.
< 35. Run | 36. 지나쳤던 것들 | 37. 비활성 보내기 ControlSend >
⚠ 이 강좌는 오토핫키 v1을 다룹니다
지금 보시는 강좌는 구버전 오토핫키(v1.1)를 다루고 있습니다. 따라서 본 강좌의 내용은 현재 최신 오토핫키 버전 (v2.0)과 호환되지 않습니다. 구버전의 정보가 필요한 것이 아니라면, 가능한 한 새로운 사이트에 작성한 v2 강좌(https://ahkv2.pnal.dev)를 봐주시길 바랍니다.